분류 전체보기29 종교인류학 - 신앙과 종교 인류학은 인간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주목하는 학문이다. 때문에 '종교'는 인류학의 중요한 연구 영역이다. 역사적, 지리적으로 다양한 사회문화에서 초자연과 성스러움에 대한 믿음과 신앙 유형이 보편적으로 발견되며, 종교에 대한 이해가 인간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인류학에서는 성스러움의 경험을 인식하는 주체인 '종교적 인간'(homo religious)을 전제로 "무엇을, 왜 믿는가,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대한 답을 구하는 것, 즉 세계 속 인간의 존재 양식을 설명하는 것이 일차적 연구과제가 된다. 나아가 종교적 믿음의 유형과 종교현상의 다양성을 탐구하기도 하며, 종교 행위자의 입장에서 종교 현상 내부의 논리와 체계를 해석한다. 따라서 인류학적 종교연구에서는 신학이나 종교학과는 달.. 2024. 9. 27. 젠더 인류학 - 젠더와 문화 인류학에서는 생물학적 차이를 나타내는 섹스(sex)와는 구별되는 개념인 젠더(gender)를 연구한다. 젠더는 역사적·문화적으로 구성되는 성별 차이를 의미하며, 인류학에서의 젠더 연구는 문화를 구성하는 핵심 중 하나인 성별 차이에 주목하여 문화의 다양성을 해석한다. 인간의 문화적 실천에 주목하는 인류학은 여성과 남성의 생물학적 차이가 어떻게 여성과 남성에게 사회적 성역할을 배치하고, 여성성과 남성성에 서로 다른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는지에 관심을 가져왔다. 그 결과 인류학은 문화적으로 구성된 성차라는 젠더 개념을 만들어냈으며, 각 사회나 문화권마다 젠더 역할이나 그 수행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여성성과 남성성 내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성적 지향의 다양성, 사회마다 '제3의 성'의 지위와 .. 2024. 9. 16. 심리인류학 - 인간 심리와 사회문화적 환경 인간은 사회문화적 존재인 동시에 심리적 존재이다. 공동체 내에서 살아가는 존재이면서 개인의 감정이나 생각, 욕구를 지닌 존재인 것이다. 심리인류학은 이러한 인간의 사회문화적 측면과 심리적 측면이 조우하는 양상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 심리인류학은 사회문화적 환경이 개인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과 인간의 문화사회적 행동에 내재하고 있는 심리적 토대를 연구한다. 미국의 경우 20세기 초 인류학이 독립된 학문으로 성장할 때 심리인류학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는데, 여기에는 마가렛 미드(Magaret Mead), 루스 베네딕트(Ruth Benedict) 등 '문화와 인성' (culture and personality) 학파로 불리던 학자들이 크게 공헌했다. 이후 20세기 중반에 문화와 인성 학파의 연구가 과도한 일반.. 2024. 9. 4. 언어인류학 - 언어, 문화, 사회의 상호작용 언어는 인류학 발달의 초기부터 인류학의 핵심 방법론인 현지조사의 주된 도구이자 동시에 연구 대상 문화의 중요한 일부로서 강조되어 왔다. 인류학자는 연구 대상 사회의 토착 언어를 알아야지만 통역 없이 연구 대상 사회의 구성원들과 소통할 수 있기 때문에 토착 언어는 연구의 핵심 도구가 된다. 토착 언어로 기록한 민담이나 설화 등은 현지조사를 통해 생산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언어는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사고를 반영하기 때문에 중요한 인류학적 연구 대상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캐나다의 이누이트(Inuit) 사회에서는 눈(snow)에 대한 정교한 어휘가 발견되는데, 이는 눈이 이누이트 사람들에게 얼마나 중요하게 여겨지는지를 보여준다. 이처럼 언어는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도구이자 그 자체.. 2024. 9. 3. 법인류학 - 법과 분쟁 법인류학은 법과 법체계 등 법과 관련된 현상을 비교문화적으로 연구하는 인류학의 하위분야이다. 법이 인간사회를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인류학이 연구하는 사회의 제반 현상에 법이 포함되는 것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인류학의 선구적인 연구 업적으로 꼽히는 문헌 중에 법적인 현상을 주제로 다룬 것들 또한 적지 않다. 원시사회 또는 소규모 사회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파악하기 위해서 사회의 규칙이나 관습, 원리, 도덕률을 파악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헨리 메인(Henry Maine)의 《고대법》(Ancient law)이나 루이스 헨리 모건(Lewis Henry Morgan)의 《고대사회》 (Ancient Society) 등이 그러한 대표적인 연구들이다. 법인류학은 문화현상으로서의 법 또.. 2024. 9. 1. 정치인류학 - 정치권력에 대한 문화적 상상 현대 문화인류학에서 정치는 강제력을 가지는 법적 실체인 국가(the state)의 작동만 아니라 일상에서 권력관계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의미한다. 권력관계는 개인들 사이에서도 분명히 존재한다. 예를 들어, 부모와 자녀, 선후배, 직장 내 상사와 직원 등의 사적인 사이에도 힘의 불평등이 존재한다. 정치와 권력의 개념을 확장하는 데 기여한 학자는 미셸 푸코(Michel Foucault)로, 그는 국가와 법 등의 제도 외에도 일상에서 권력관계가 형성되고 작동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판옵티콘(panopticon) 모델로 설정된 감옥은 감시자가 부재하더라도 죄수가 스스로 행동을 조심하게 만든다. 푸코에 따르면 권력관계는 일상생활의 모든 차원에서 작동하므로 개인적인 것(the personal)도 얼마든지 .. 2024. 8. 23. 이전 1 2 3 4 5 다음